DAILY PATTERN

728x90
반응형

초딩 vs 잼민이

 

대략 현시점에서 7,8년 전만 해도 인터넷 사이트나 혹은 온라인 게임상에서 초등학생의 줄임말로

"초딩" 혹은 "초글링"이라는 단어로 대체해서 많이 쓰곤 했습니다.

초딩이나 초글링이라는 단어 그 자체의 상징성 자체가 초등학생을 지칭하면서 대체할 수 없는

완벽한 고유명사이면서 그 당시의 신조어로 굳혀서 여러 해 동안 쓰여 왔었습니다.

 

그 당시 초딩은 해학의 한 종류로 취급되었다.

근데 몇 년 전부터 온라인상에서 초딩이라는 단어는 잘 안 보이게 되고 "잼민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기

시작하더니 우후죽순 여러 커뮤니티에서 초딩이라는 대체하는 단어로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습니다.

 

과연 "잼민이" 라는 뜻은 정확히 뭐고 어디서 그 단어가 파생되었을까요?

 

이미지출처 : 나무위키

게임방송을 즐겨보시는 분이라면 트위치 방송 한 번씩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개인 전문 비디오게임 스트리밍을 해주는 사이트인데 이곳에서 방송하는 트위치 스트리머는

아프리카 TV와 같이 별풍선과 같은 기부를 시청자로부터 받을 수 있고 트위치 스트리머는 이를 통해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입니다.

 

결국 트위치의 투네이션 시스템인 TTS(음성합성 서비스)를 통해서 스트리머에게 도네이션을 하는 시청자는 본인이 원하는 음성 혹은 목소리를 고를 수 있고 본인이 작성한 문장을 해당 보이스가 스트리머에게

소리 내어 읽어주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트위치 도네이션 TTS 보이스 목록

잼민이라는 TTS 보이스는 원래 트위치 스트리머인 "렐라" 라는 사람이 본인의 개인 방송을 "민재"라는

사촌동생과 같이 찍고 있던 중 우연찮게 이 방송을 시청하고 있던 투네이션 개발자가 해당 스트리머에게

동의를 구하고 제작을 하게 되었으며 "민재"라는 실명으로 서비스를 하는 걸 원치 않아했기에

지금의 "잼민"으로 굳혀지게 되었습니다.

 

근데 요즘 초딩들은 자신들이 잼민이라고 불리는걸 별로 안 좋아한다고 합니다.

이유는 초딩은 뭔가 개념은 없지만 그래도 하는 짓이 초딩의 범주 내라고 하면은 잼민이는 개념이 없고

4가지가 없게 행동하는 초딩이라는 집합체 같은 느낌이라서 그렇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포켓몬 띠부씰이 몰고 온 광풍

 

SPC삼립의 포켓몬 빵 재출시가 몰고 온 후폭풍이 정말 거셉니다.

이제는 오프라인, 온라인 매장에서 빵 구경하는 게 하늘의 별따기가 됐을 정도입니다.

오죽하면 빵이 매점으로 새로 들어오자마자 대기했다가 빵을 털어가는(?) 오픈런

삼립 차를 졸졸 쫓아다니면서 빵을 갈취하는 사람들도 나타났을 정도로 열기가 좀처럼 식질 않고 있습니다.

 

이놈의 띠부씰이 뭐라고 오죽했으면 삼립도 자사 SNS 페이지에 샤니 빵공장을 24시간 주,야로

가동하고 있지만 폭발적인 수요를 감당하지 못한다는걸 인정한 사과문까지 개제했을 정도입니다.

 

이미지 출저 : SPC삼립 인스타그램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포켓몬 빵과 그걸 쫓는 광기의 트레이너들과 되팔렘들에게 시달리는

편돌이들 및 매점알바생들의 고충 짤을 모아봤습니다.

 

012

이거 외에도 추가로 나온 새로운 짤 주소를 알려주시면 추가해 보겠습니다 ㅋㅋㅋ

결코 제가 오프라인 매장 7군데를 돌고 빵을 하나도 못 사서 이러는 건 아닙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도치맘"이라는 단어의 뜻과 그 유래는?

 

어느 날 내무부장관님이 "도치맘"이라는 단어가 뭔지 아냐고 물어보길래 또 무슨 신조어인가 싶었는데,

 

맘카페나 맘톡등 에서 흔하게 "도치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어서 그 뜻을 한번 찾아봤습니다.

 

지구 상에 존재하는 다른 여타 동물들도 대부분 그러하겠지만 고슴도치 역시 인간 못지않게 자기 자식에

대한 모성애가 굉장히 높은 동물로 잘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이미지 출처 : Pixabay

실제로 고슴도치의 갓 나온 새끼는 가시가 털같이 부드럽지만 점차 자라나면서 어미와 같은

가시로 뒤덮이게 됩니다.

옛 속담에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함함하다고 한다"라는 문장이 있는데요.

그 뜻은, 비록 남들 눈에는 고슴도치의 새끼가 가시가 돋친 예쁘지 않은 외모일지라도

부모 고슴도치 눈에는 이쁜 자식으로 보인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답니다.

 

Ksenia Chernaya  님의 사진, 출처:  Pexels

이러한 속담이 존재하는 걸 보면 고슴도치의 자식 사랑 역시 사람에 못지않은 듯합니다.

결국 도치맘이라는 단어는 자식사랑에 그 누구보다 헌신하는 엄마를 일컫는 단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굉장히 귀여고 친근한 신조어 하나 알아가네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