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PATTERN

728x90
반응형

죠스는 항상 ☆ 즐겁습니다

 

죠스떡볶이 - 짜빠 떡볶이

주말에 롯데마트에 오래간만에 장을 보러 갔다가 밥을 먹기에는 배가 그렇게 고프지 않고

뭔가 간단하게 배를 채우고자 하다가 매장 내에 입점해 있는 "죠스떡볶이"를 처음으로 방문해 봤습니다.

 

메뉴를 쭉 훑어보다가 왠지 모르게 메뉴 이름이 당겨서 "짜빠 떡볶이"를 주문해 보았습니다.

 

죠스떡볶이 - 짜빠 떡볶이

"짜빠떡볶이(5,000원)" 세트입니다.

물가가 정말 많이 올랐다는 게 체감이 되는 순간입니다.

개인적으로 어묵 국물 정말 좋아하는데 너무 찔끔 담아 줘서 슬펐습니다 ㅋ

개인적으로 계란 프라이 저렇게 트레이로 모양 내서 나오는 거 선호하는 타입입니다 ㅎ

 

죠스떡볶이 - 짜빠 떡볶이

제일 중요한 저 짜장 소스의 맛은 시판소스류와 직접 볶은 거의 중간쯤에 해당하는 맛 이었는데

맛 자체는 제 개인적인 입맛으로는 맛있었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3분 요리류의 짜장을 맛없어서 못 먹는 애기 입맛에 속하는 편인데 죠스떡볶이에서

만들어내는 짜장 소스는 굉장히 단짠단짠 한 맛이 맘에 들었습니다.

 

죠스떡볶이 - 짜빠 떡볶이

들어가 있는 떡볶이 떡도 밀가루 떡이 아닌 쌀가루 떡이라서 굉장히 쫀득한 맛이 좋았습니다.

짜장과 떡볶이 소스의 조합은 굉장히 신기한 맛이 나면서 동시에 저 같은 맵찔이도 떡볶이의

매운맛을 잊을 수 있을 정도로 쉽게 목 넘김이 가능한 그런 장점이 있는 맛이었습니다.

 

죠스떡볶이 - 짜빠 떡볶이

진짜 아무 생각 없이 개인적인 촉으로 방문한 가게인데 정말 바닥까지 긁어먹어 버렸습니다.

 

죠스떡볶이 - 짜빠 떡볶이

트레이 용기 바닥을 다 긁어먹으니까 "죠스는 항상 즐겁습니다"라는 문구를 볼 수 있었습니다.

집 근처에는 죠스떡볶이가 없어서 아쉬운데 다음에 또 똑같은 메뉴 시켜먹을 의향이 정말 충만한 채로

마감한 하루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근데 이건 좀 억지 같다 -_- VS 그 시대의 낭만

 

이번에도 철 지난 신조어 알아내는 시간입니다.

이번 신조어는 무려 현 시점에서 4년여 전인 2018년도 경에 만들어진 신조어였던 녀석입니다.

 

"H워월V" 라는 글자인데 아마 그 당시 연애 좀 하셨던 분이라면 아시는 분 더러 있으실 듯합니다.

아 물론 저는 그때도 몰랐습니....

 

각설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서 해당 글자를 조금 크게 키우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H워월V

 

글자 폰트체에 따라 달라 보일 수는 있습니다만....

이제 위의 글자를 180도 시계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H워월V

보는 사람에 따라서는 절대 그렇게 보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저걸 "사랑해"라고 타이핑해서 보내는 용도의

신조어였었다고 하네요.

 

지금은 이런 방식은 구식이긴 하겠지만 그래도 그때 당시의 낭만이 담겨 있는 듯하네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과연 정말 MZ 세대만?

 

오늘 들고 온 새롭게 알아보는 신조어는 "네카라쿠배당토" 라는 신조어입니다.

사실 이건 단어라고 보기에는 그 누가 봐도 큰 무리수가 있을 정도로 난해한 감이 없지 않아 있는데요.

 

"네카라쿠배당토" 라는 신조어는 2021년 경 만들어진 나름 신상(?) 단어입니다.

총 7개 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신조어인데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네이버, 카카오, 라인, 쿠팡, 배달의민족, 당근 마켓, 토스"

한국에서 살면서 위의 7개 플랫폼을 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은 아마 없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유명하지요.

상기 다섯 개 IT 플랫폼의 이름 앞글자만 따서 만들어진 신조어로 분석하는 관점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는

있는 듯 하지만 MZ세대 혹은 Z세대가 입사 혹은 이직하고자 하는 상위 7개의

네임밸류가 있는 회사들의 나열이라고 합니다.

 

아무래도 IT 계열 플랫폼 회사들 답게 근무 여건이나 급여적인 부분, 복리후생 등이 기존의 기업들과는

비교를 할 수 없을 정도로 좋기 때문에 이런 라인업이 만들어져서 신조어이자 밈이 된 듯합니다.

 

Mizuno K님의 사진: https://www.pexels.com/ko-kr/photo/12902862/

최근에는 상기 7개 플랫폼에 추가로 2개의 플랫폼이 추가되어 "네카라쿠배당토야직",

즉 "네이버, 카카오, 라인, 쿠팡, 배달의민족, 당근 마켓, 토스, 직방, 야놀자 "로 늘어난 추세라고 하네요.

 

최근 카카오의 서버 다운 사태 때문에 사회에 미친 영향만 놓고 봐도 잘 키운 IT 플랫폼 하나가

문어발로 확장하여 가져 가는 금전적인 이익이 어마어마 해진 시점을 놓고 보자면 결국 IT 직업군의 활용도가 곧 기업의 이윤과 직결된다는 것은 두말하면 잔소리일 정도로 IT 플랫폼으로의 구인, 이직률이 높아지는 건 결국 정석적인 사회적 흐름이 아닐까 싶네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