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PATTERN

728x90
반응형

이제 검색하지 마시고 그냥 디바이스에서 바로 찾아 쓰세요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입니다. / by imagen3

 

가끔 모바일에서 한자를 찾아서 입력을 해야 하는 경우가 간간히 있는 상황이 발생하곤 하는데

이럴 때마다 네이버나 구글 등의 검색앱에서 검색 후 그 한자를 복사 후 붙여쓰기를 해야 하곤 하는데

검색앱에서 이를 찾지 말고 디바이스 자체에서 한자를 편하게 찾아서 사용 하실 수 있습니다.

 

※ 시연한 갤럭시 폰은 Galaxy Z Flip 5, One UI 6.1.1, 안드로이드 버전 14 적용 상태입니다.

※크게 Qwerty 자판과 천지인 자판일 때 2종류로 정리하였습니다.

 

Qwerty 자판일 때

 

1. 앱 검색 화면에서 상단의 검색바를 클릭해서 입력 상태를 활성화시켜줍니다.

 

Qwerty 자판 한자 변환 방법 #1

 

2. 찾고자 하는 단어를 입력하고 스페이스 바 왼쪽에 있는 "한자" 키를 눌러줍니다.

Qwerty 자판 숫자입력키의 바로 위에 한자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Qwerty 자판 한자 변환 방법 #2

 

3. 한자 단어들 옆의 점이 3개 있는 버튼을 눌러주면 아래와 같이 더 많은 한자 검색 결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본인이 사용을 원하고자 하는 한자로 변환하면 끝입니다.

 

Qwerty 자판 한자 변환 방법 #3

 

천지인 자판일 때

 

천지인 키보드를 입력할 때도 방식은 동일합니다.

 

1. 앱 검색 화면에서 상단의 검색바를 클릭해서 입력 상태를 활성화시켜줍니다.

 

천지인 자판 한자 변환 방법 #1

 

2. 찾고자 하는 단어를 입력하고 스페이스 바 우측에 있는 "한자" 키를 눌러줍니다.

천지인 자판 입력키 위로 한자 검색결과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천지인 자판 한자 변환 방법 #2

 

3. 한자 단어들 옆의 점이 3개 있는 버튼을 눌러주면 아래와 같이 더 많은 한자 검색 결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본인이 사용을 원하고자 하는 한자로 변환하면 끝입니다.

 

천지인 자판 한자 변환 방법 #3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워치 초기화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사유가 어찌 되었든 간에 IT 기기는 사용하면서 1,2번쯤은 초기화를 하는 날이 오곤 합니다.

저는 이번에 갤럭시 워치 7을 구매하면서 바꿔보상을 선택하여서 기존 제가 사용하던

"갤럭시 워치 4 클래식 46mm BT" 제품을 보상판매를 하게 되어 제품 초기화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워치 자체에서도 초기화는 가능하지만 저는 스마트폰의 "Wearable" 앱으로 원격 초기화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웨어러블 앱 실행

 

웨어러블 앱을 실행 시킨 상태에서 "워치 설정" 항목으로 들어가 줍니다.

 

워치 설정 -> 일반

 

워치 설정 항목으로 진입하셔서 밑으로 조금만 내리면 "일반" 항목이 보이실 겁니다.

"일반" 항목으로 진입해 줍시다.

 

"초기화" 발견

 

일반 항목으로 진입하여 주시면 아래에 "초기화" 버튼을 어렵지 않게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화 하실겁니까? 휴먼

 

"초기화"를 진행하기에 앞서 진짜로 초기화를 할 것인지 되물어주며

초기화를 하면서 삭제될 정보들은 자동으로 연동되어 있던 스마트폰으로 옮겨집니다.

옮겨진 워치의 데이터는 추후 연동되는 워치에 자동으로 업로드가 되니까 참 편합니다.

 

갤럭시 워치 초기화는 이 순서로 진행하는 게 다이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진행 가능 하실 겁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고유 명사와 속성의 정확한 외래어 표기 정립에 따른 결과

 

이미지 출처 : Imagen 3

 

서울의 중심을 관통하는 "한강"의 정확한 영문 명칭은 "Hangang River"이며,

이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에 의거하여 정립이 되었습니다.

 

그럼 왜 "Han River"가 아니라 "Hangang River"일까요?

이러한 연유에는 자연 지명은 전체 명칭을 로마자로 표기하며, 속성을 나타내는 단어를 함께 써야 하기 때문입니다.

 

"Han River"는 한강이라는 고유명사 자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이며,

"Hangang"이라는 고유명사를 그대로 살려야 정확한 표기를 이행한 것이 됩니다.

 

이러한 표기방식에는 우리나라 지명의 고유한 특징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함과

국제적인 통일성을 확립하기 위한 지명 표기 방식의 혼란을 없애기 위한 조치의 결과라고 합니다.

 

참고로 한국을 대표하는 4대 강의 외래어 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강 : Hangang River - 한강(고유명사) + River(속성)

금강 : Geum River - 금(고유명사) + River(속성)

낙동강 : Nakdong River - 낙동(고유명사) + River(속성)

영산강 :  Yeongsan River - 영산(고유명사) + River(속성)

 

추가적으로 프랑스의 센느강(혹은 센강)의 국제적 표기는 "Seine"으로 표기를 합니다.

이는 센느강의 고유명사 그 자체가 "Seine" 이기 때문에 별도의 River 표기를 병행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나라별 지명에 관련된 고유명사 처리가 조금씩은 차이가 있는 듯 하지만

결론적으로 지명의 특징을 상세화 한다는 건 큰 차이가 없는 것 같네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