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PATTERN

728x90
반응형

구글로부터 받아보는 짤막한 지식 한마당

 

한국에 물어보면 뭐든지 알려주는 대표적인 초록색 검색 창인 "네이버"가 있듯이

모두가 다 잘 아시듯 전 세계인들이 정보를 검색하는 창은 "구글"이 거의 독점하듯이 하고 있죠

 

물론 요즘에는 Chat GPT니 Ai기반 상호대화형 검색기반 서비스도 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구글의 아성에는 덜 미치는 게 사실이긴 합니다.

 

매번 찾고자 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무궁무진한 결과 값을 주는 구글이지만

구글검색창은 이와는 별개로 사실에 입각한 재밌는 사실들을 유저에게 제공해주고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궁금하면 물어봐"가 아닌 "이런 사실도 있는데 어때?"라는 또 다른 스탠스의 차이죠.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은 일맥상통하지만 마치 유튜브 쇼츠처럼 흥미를 유발하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바로 활용하는 법은 늘 그렇듯 매우 심플하고 간단합니다.

 

구글 검색창을 열어주시고 검색어로 "fun facts" 혹은 "I'm feeling curios" 입력을 해줍니다.

 

항상 정보 전달은 쉽고 깔끔하게~

 

이렇게 입력하고 엔터를 쳐주면 조그마한 토막 상식을 랜덤 하게 유저에게 알려주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아래 보이는 제가 랜덤하게 받은 결과 창을 기준으로 "Fun Facts and Trivia"라는 항목 아래로 질문 한 줄과

그에 대한 답변을 알아놓은 인용구 비슷한 창이 보입니다.

 

Fun Facts and Trivia

 

굳이 해석을 해보자면 "양고기가 적색육류이냐 백색육류이나?"라는 질문이며 이에 대해 달린 해답으로

양고기는 적색육류가 맞으며 동물의 근육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마이오글로빈이라는 효소에 의해서

고기의 색깔이 결정되어지는데 양은 치킨이나 어류에 비해서 더 많은 마이오글로빈을 가지고 있어서

적색육류라고 불리는 게 맞다는 설명입니다.

 

필요한 정보만 쏙 찾는 것도 좋지만 가끔은 이렇게 생활 토막 상식 같은 것도 배워두면 좋지 않을까요?

 

아 참고로 구글의 Fun facts 기능은 검색을 할 때마다 그 내용이 랜덤 하게 바뀌는 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싱기방기한 구글 검색창의 숨겨진 이스터에그 "강아지"

 

이것도 역시나 제곧내 입니다.

 

역시나 모바일과 PC 두 환경에서 다 제대로 작동하는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는 방법은 늘 그렇듯이 심플 그 자체 입니다.

 

매번 해왔듯이 구글 검색창에 강아지 라는 키워드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눌러주면

이번것은 완전 귀염뽀짝 입니다.

 

이렇게 준비된 화면이 나오고 나서!

검색 결과가 나온 이 창을 잘 보시면 우측에 개발바닥이 찍힌것 같은 보라색 버튼이 보일것 입니다.

저것을 마우스로 눌러주면(모바일은 그냥 손으로 클릭!)

 

멍!

사운드가 켜져 있다면 강아지가 멍! 외침 소리가 나면서 화면에 개발바닥이 등장하면서 화면을 찍습니다.

 

개발바닥!

이렇게 개발바닥이 한번 찍은곳은 발바닥 자국이 화면에 남습니다 ㅎㅎ

정말 귀엽지 않습니까?

 

개(발바닥) 판

이렇게 화면을 온통 개발바닥으로 덮어버릴 수 도 있습니다 ㅋㅋㅋㅋ

아 참고로 그만두고 싶을때는 아래의 활성화 된 X키를 눌러 주면

발바닥 자국이 닦이는 애니메이션이 활성화가 되면서 화면이 깨끗해지고 다시 검색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이 됩니다!

 

구글의 숨겨진 이스터에그 찾는것에 요즘 맛들려서 계속 이렇게 포스팅을 하고 있는데

재밌는 이스터 에그 또 찾아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싱기방기한 구글 검색창의 숨겨진 이스터 에그 "이중 소행성 방향 충돌"

 

이것 역시 제곧내입니다.

 

역시나 PC 환경과 모바일 환경 두 가지 환경 둘 다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하는 방법 역시나 심플하고 간단합니다.

 

구글 검색창을 열어주고 "이중 소행성 방향 충돌"이라고 키워드를 입력 후 엔터키를 눌러 주면

 

너무 순식간에 지나가기 때문에 잘 보셔야 합니다

 

위성이 두둥등장

갑자기 위성 한대가 화면 왼쪽에서 갑자기 나타나면서 우측으로 지나가는 듯하더니

화면 우측에서 부딪치고 폭발하는 효과가 발생한 뒤에

 

기울어져버린 화면

화면이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이스터 에그 같은 경우에는 나름 심오한 뜻이 담겨 있습니다.

사실 "이중 소행성 방향 충돌" 혹은 "이중 소행성 방향 전환 평가"는

근미래에 지구상에 충돌할 수 있는 소행성들의 궤도를 사전에 예측한 뒤 지구에서 위성을 쏴 올려서

직접 소행성에 강제로 부딪히고 해당 결과로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서 지구와 인류의 번영을 유지하기 위한

실험단계의 프로젝트인 "D.A.R.T(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를 기리기 위한 이스터 에그입니다.

 

이번 이스터 에그는 그 나름의 뜻도 굉장히 좋고 유익한 콘텐츠인 것 같습니다.

이스터 에그 각각의 숨겨진 의미를 찾는 것도 그 이스터 에그를 만든 사람들을 위한 조그마한 리스펙트가 아닐까 싶네요.

728x90
반응형